[퀀트투자]할로윈 전략(Sell in May), KOSPI에선 정답, S&P500에선 물음표?

[S&P500 백테스트] 할로윈 전략, 수익률 vs 안정성 당신의 선택은? | CAGR, MDD 분석

[퀀트투자] S&P500 할로윈 전략

이전 포스팅에서 KOSPI 시장의 할로윈 전략을 분석한 결과, 수익률과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유의미한 성과를 확인했습니다. 계절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이 과연 한국 시장에만 국한된 이야기일까요, 아니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 S&P50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5월에는 팔고 떠나라"는 격언이 미국 시장에서는 어떤 결과를 낳는지, 수익률안정성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지난 글: 할로윈 전략(KOSPI) 백테스트 보러가기


1. 백테스트 개요 및 자료

  • 사용 자료: S&P500 월간 데이터
  • 자료 기간: 1980.01 ~ 2022.06 (40년 이상)
  • 자료 출처: Stooq

백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수집 사이트 비교 글 보러가기

관련글 보러가기 (원자료 다운로드 가능)


2. 백테스트 조건 및 전략

  • 전략: 할로윈 전략 (11월 매수, 4월 매도)
  • 투자 대상: S&P500 지수
  • 리밸런싱 주기: 6개월 (매년 4월 말, 10월 말)
참고 사항:
- 미국 시장 분석이므로 환율 변동이 중요한 변수이지만, 이번 분석에서는 지수 자체의 순수한 계절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환율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 현금 보유 시 이자수익 및 거래세 등 비용은 모두 '0'으로 가정했습니다.
- 초기 투자금 1원을 기준으로 최종 수익(배)을 확인하여 직관적으로 비교했습니다.
엑셀을 이용한 S&P500 할로윈 전략 계산 화면

▲ 엑셀 계산 화면


3. 백테스트 결과 분석

-전체 기간 분석 (1980.01 ~ 2022.06)

S&P500 할로윈 전략 전체 기간 결과 그래프
구분 단순 보유(B&H) 할로윈 전략 (11~4월) 반대 전략 (5~10월)
CAGR 8.60% 6.34% 2.13%
MDD -52.56% -32.14% -39.52%

결과는 KOSPI와 사뭇 달랐습니다. S&P500 시장의 장기적인 우상향 추세 덕분에, 단순 보유(B&H) 전략이 연복리 8.60%라는 가장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40년 이상 꾸준히 보유했다면 할로윈 전략보다 더 큰 부를 쌓을 수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단연 MDD입니다. 할로윈 전략은 수익률을 일부 포기하는 대가로, 최대낙폭을 -32.14%까지 극적으로 낮췄습니다. 이는 B&H 전략의 고통스러운 하락 구간(-52.56%)을 피하고 훨씬 안정적으로 투자를 이어갈 수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KOSPI와 달리 '할로윈 반대 전략'도 마이너스 수익률은 아니었지만, 성과는 미미했습니다.

-20년 단위 기간 분석

1) 80~90년대 (1980.02 ~ 1999.12)

S&P500 할로윈 전략 80-90년대 결과 그래프
구분단순 보유(B&H)할로윈 전략반대 전략
CAGR13.69%9.24%4.07%
MDD-30.17%-13.19%-23.65%

미국 증시의 황금기였던 80~90년대는 B&H 전략이 CAGR 13.69%라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할로윈 전략 역시 9%가 넘는 준수한 수익률과 함께, MDD를 -13.19%라는 경이적인 수준으로 방어하며 그 안정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높은 상승장 속에서도 '쉬어가는 투자'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위험을 관리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2) 2000년대 이후 (2000.01 ~ 2022.06)

S&P500 할로윈 전략 2000년대 이후 결과 그래프
구분단순 보유(B&H)할로윈 전략반대 전략
CAGR4.87%4.34%0.50%
MDD-52.56%-32.14%-39.52%

닷컴 버블 붕괴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0년대 이후의 결과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B&H 전략의 CAGR은 4.87%로 크게 낮아진 반면, 할로윈 전략은 4.34%로 그 격차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수익률은 비슷해졌지만, MDD는 B&H가 -52.56%에 달하는 동안 할로윈 전략은 -32.14%로 여전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결과는 최근으로 올수록 할로윈 전략의 '위험 대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더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 결과 요약

S&P500 시장에서 할로윈 전략은 '최고의 수익률'을 보장하지는 않았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을 떠나지 않고 꾸준히 보유하는 단순 보유(B&H) 전략이 가장 높은 수익을 안겨주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투자자는 자산이 반 토막 나는 끔찍한 고통(MDD -52.56%)을 견뎌내야만 했습니다.

반면 할로윈 전략은 수익률을 일부 양보하는 대신, MDD를 획기적으로 낮춰 비교 불가능한 수준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했습니다. 투자자는 본인의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더 높은 스트레스를 감수하고 최고 수익을 추구한다면: 단순 보유(B&H)
  • 수익률을 조금 낮추더라도, 마음 편히 안정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싶다면: 할로윈 전략

특히 최근 20년의 데이터를 보면 두 전략의 수익률 격차는 줄어든 반면 MDD의 격차는 여전하므로, 변동성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 할로윈 전략은 S&P500 시장에서도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매력적인 카드가 될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