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10년 백테스트 결과로 본 수익률과 MDD 개선 효과

[퀀트투자] 영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1년) vs 비리밸런싱: 10년 백테스트 결과 심층 비교

[영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효과 분석]

지난 글에서는 리밸런싱 없는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의 10년간 성과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년 주기로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적용했을 때의 영구 포트폴리오 성과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과연 리밸런싱은 영구 포트폴리오의 안정성과 수익률을 얼마나 개선시킬까요? 수익률(CAGR)과 최대낙폭(MDD) 지표를 중심으로 결과를 심층 분석합니다.

영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적용과 비적용 10년 백테스트 결과 비교

1.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란?

영구 포트폴리오는 투자의 귀재 해리 브라운(Harry Browne)이 고안한 투자 전략입니다. 그는 시장의 모든 상황을 네 가지로 나누고, 각 상황에서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자산을 25%씩 균등하게 배분하여 투자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호황 (Prosperity): 주식 (25%)
  • 불황 (Recession): 장기채권 (25%)
  • 인플레이션 (Inflation): 금 (25%)
  • 디플레이션 (Deflation): 현금성 자산 (25%)

이 전략의 핵심은 어떤 경제 상황이 오더라도 포트폴리오 전체가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입니다. 한 자산이 약세를 보일 때 다른 자산이 그 손실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시장의 예측 불가능성을 극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백테스트 개요 및 데이터

이번 비교 분석에는 2015년 8월 3일부터 2025년 7월 31일까지의 10년간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 모든 포트폴리오의 초기 투자금은 1,000만 원으로 동일하게 설정했습니다. 백테스트에 사용된 영구 포트폴리오와 리밸런싱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리밸런싱 영구 포트폴리오: KODEX 골드선물(H), KODEX 200, KODEX 국채선물10년, 은행 예금에 각각 25%씩 초기 배분 (리밸런싱 없음)
  • 리밸런싱 영구 포트폴리오: 위 4가지 자산에 각각 25%씩 초기 배분 후 1년 주기로 리밸런싱 진행
백테스트 자료 출처 및 참고
  • ETF 자료: 야후 파이낸스(Yahoo Finance) 일간 데이터
  • 은행 예금 금리: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기준금리 사용 (예금은 계산 편의상 주당 1,000원의 가정과 함께 매일 기준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계산)

▶ 참고: 야후 파이낸스 과거 데이터 검색 방법
▶ 참고: 야후 파이낸스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 참고: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바로가기


3. 백테스트 결과 비교 분석: 리밸런싱의 놀라운 효과

아래 표는 10년간의 백테스트 결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수익률, 연복리수익률(CAGR), 최대낙폭(MDD) 지표를 통해 리밸런싱 적용 유무에 따른 영구 포트폴리오의 성과 차이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구분 리밸런싱 (1년) 리밸런싱 미적용
최종 금액 17,162,218원 17,001,697원
총 수익률 71.62% 70.02%
연복리수익률(CAGR) 5.55% 5.45%
최대낙폭(MDD) -16.67% -18.91%
   리밸런싱 적용 및 비적용 영구 포트폴리오 10년간 수익률 비교 그래프

▲ 리밸런싱 적용 및 비적용 영구 포트폴리오 수익률 비교 그래프


4. 결과 해석 및 인사이트

백테스트 결과를 통해 우리는 영구 포트폴리오 전략에서 리밸런싱이 얼마나 중요한지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밸런싱을 적용한 포트폴리오는 리밸런싱 미적용 포트폴리오에 비해 수익률은 소폭 상승한 반면, 최대낙폭(MDD)은 약 2.24%p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에 포트폴리오의 하방 위험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했음을 의미합니다. 리밸런싱은 포트폴리오의 원래 자산 배분 비중(각 25%)을 주기적으로 복원하여, 시장 상황에 관계없이 균형 잡힌 자산 구성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결과적으로 리밸런싱은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여 장기적인 자산 증식뿐만 아니라 투자 과정에서의 심리적 안정감까지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영구포트폴리오VS단일자산 투자 글 보러가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