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투자]한국 증시는 정말 '박스피'일까? 기간별 CAGR, MDD 심층 분석
[퀀트투자] KOSPI 기간별 성과 분석
흔히 국내 주식시장은 긴 횡보장, 소위 '박스피'라고 합니다. 과연 이 말이 맞는지, KOSPI 지수 40년 데이터를 기간별로 나누어 연복리수익(CAGR)과 최대낙폭(MDD)을 직접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백테스트 개요 및 자료
- 사용 자료: KOSPI 월간 데이터
- 자료 기간: 1981.01 ~ 2022.06
- 자료 출처: Stooq
👉 백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수집 사이트 비교 글 보러가기
2. 백테스트 조건
- 분석 대상: KOSPI 지수 (단순 보유)
- 분석 기간: 전체 기간, 20년, 10년 단위로 나누어 분석
- 분석 지표: 연복리수익(CAGR), 최대낙폭(MDD)
- (참고: 2019년 이후 데이터는 '2010년대' 기간에 포함하여 분석)
3. 기간별 분석 결과
-전체 기간 (1981.02 ~ 2022.06)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1981.02 ~ 2022.06 | 22.03 | 7.56% | -73.06% |
전체 기간 그래프는 우상향하지만, 긴 횡보 후 단기간 상승하는 '계단식 상승' 패턴을 보입니다.
-20년 단위 분석
1) 80~90년대 (1980.02 ~ 1999.12)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1980.02 ~ 1999.12 | 9.71 | 12.09% | -73.06% |
전반 20년은 CAGR이 12.09%로 높았지만, MDD 역시 -73%로 매우 컸습니다. 횡보와 하락 기간이 길지만, 상승 시에는 매우 가파르게 오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2) 2000~2010년대 (2000.01 ~ 2022.06)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2000.01 ~ 2022.06 | 2.27 | 3.71% | -49.18% |
후반 20년의 CAGR은 3.71%로 전반부에 비해 저조했지만, MDD는 -49.18%로 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상승세가 완만하고 횡보장이 긴 것이 특징입니다.
-10년 단위 분석
1) 80년대 (1980.02 ~ 1989.12)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1980.02 ~ 1989.12 | 8.59 | 24.22% | -24.03% |
1986년부터 급격한 상승을 시작하여 10년간 CAGR 24.22%라는 경이적인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2) 90년대 (1990.01 ~ 1999.12)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1990.01 ~ 1999.12 | 1.13 | 1.23% | -73.06% |
90년대는 처참한 시기였습니다. 10년간 수익률은 거의 제자리걸음이었고, IMF 외환위기로 인해 역사상 최악의 MDD(-73.06%)를 기록했습니다.
3) 2000년대 (2000.01 ~ 2009.12)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2000.01 ~ 2009.12 | 1.64 | 5.05% | -49.18% |
90년대보다는 나은 CAGR 5%를 기록했으며, 2003년부터 꾸준히 상승하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큰 하락을 겪었습니다.
4) 2010년대 (2010.01 ~ 2022.06)
| 기간 | 최종 수익(배) | CAGR | MDD |
|---|---|---|---|
| 2010.01 ~ 2022.06 | 1.39 | 2.65% | -31.63% |
2010년대는 '박스피'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횡보장 그 자체였습니다. CAGR은 낮았지만 MDD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4. 결과 요약
KOSPI는 80년대의 눈부신 성장을 거쳐 90년대 IMF 위기, 2000년대 금융위기를 겪으며 성장통을 겪었습니다. 이후 2010년대에는 기나긴 횡보장을 맞이했습니다.
분석 결과, KOSPI는 '긴 횡보 후 단기 상승'하는 계단식 패턴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80년대와 같은 폭발적인 성장은 재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 전체 데이터보다는 90년대 혹은 2000년대 이후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KOSPI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접근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기대:
KOSPI가 긴 횡보장 이후 상승하는 패턴을 보여왔기에, 길었던 2010년대 횡보장 이후 다시 한번 상승하는 시기가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