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9월 01일: 전세시장 상승세 둔화, 그러나 여전한 불안정성

              [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9월 01일: 전세시장 상승세 둔화, 그러나 여전한 불안정성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9.01)-전세편]

 

이번 주 2025년 09월 01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전세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전반적인 전세가 상승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높은 수치를 기록한 전세수급지수가 의미하는 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전세시장 요약

     
  • 전국 전세수급지수 151.19로 지난주(150.78)보다 더욱 높은 수치를 기록,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 서울 전세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2차 추세선 가속도(a) 계수가 양수로 전환되며 상승세가 다시 미약하게 가속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 전국 전세거래지수 20.21로 지난주(19.20) 대비 상승, 시장 활력이 소폭 회복되는 흐름입니다.
  •  
  • 6개 광역시 및 기타 지방의 상승세는 둔화되거나 하락 추세를 보이며,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전세지수 추이 및 주요 지표 변화

아래 차트는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의 전세지수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전세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이 눈에 띕니다.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다음 표는 2025년 09월 01일 기준 주요 전세 지표를 지난주(8월 25일 기준)와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지역전세지수 (9/1)전세지수 (8/25)전세수급지수 (9/1)전세수급지수 (8/25)전세거래지수 (9/1)전세거래지수 (8/25)
전국90.7990.76151.19150.7820.2119.20
서울93.8893.78152.39152.5522.6220.90
6개광역시87.2487.23152.09152.4818.1817.39
수도권89.9789.92150.53150.9221.8120.41
기타지방95.9795.96151.63149.9619.4218.92

▲ KB 주간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현황 (2025년 09월 01일 기준)

자료 출처: KB데이터허브

    참고 사항:
    - 전세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전세수급지수: 100을 초과하면 공급 부족(전세 물건 부족)을, 100 미만이면 공급 우위(전세 물건 많음)를 의미합니다.
    - 전세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전세 동향 및 추세선 분석

지역별 전세지수 추세선 차트를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전세 가격 상승 추세가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특히 결정계수(R²)를 통해 추세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664로 매우 높습니다. 2차 추세선 계수(a)가 +0.00008로 양수 값을 기록하며 상승세가 다시 미약하게 가속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613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43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전히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는 흐름임을 나타냅니다.
  •  
  • 전국: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는 0.8997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지만,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238)인 점은 전반적인 상승세 둔화 흐름을 의미합니다.
  •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8724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375)로 상승 동력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  
  • 기타 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는 0.8744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1차 추세선 기울기(-0.011156)가 음수입니다.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수도권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수도권 전세지수 및 추세선

  기타지방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기타지방 전세지수 및 추세선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증감률
세종+0.142%
강남11개구+0.122%
서울+0.104%
강북14개구+0.084%
울산+0.070%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증감률
전북-0.005%
충북-0.008%
대구-0.012%
강원-0.015%
대전-0.030%
 

이번 주 전세가 상승률 1위 지역은 세종이었으며, 서울과 울산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한편 하락률 상위 지역에는 대전, 강원, 대구 등이 이름을 올리며 지방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습니다.


5. 마치며: 전세 시장의 상승세 둔화, 그러나 여전한 불안정성

2025년 9월 첫째 주 주간 KB부동산 전세지수 분석 결과, 서울과 수도권의 강력한 상승세에 힘입어 전국 지수 역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 값을 보이며 상승세가 둔화되는 조짐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세수급지수가 여전히 15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인 점은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키는 핵심 요인입니다.

전세 시장의 상승 동력이 약화되는 흐름 속에서도 매물난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전세 가격의 급격한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전세 계약을 준비 중인 임차인들은 지역별 수급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투자 관점에서 이러한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은 매매 시장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의 갭이 좁혀지는 상황에서 실수요자들의 매매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