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매매편(KB부동산)|2025년 08월 25일: 부동산 시장, 거래량 바닥 다지나?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8.25)-매매편]
이번 주 2025년 08월 25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서울의 상승세는 더욱 뚜렷해지고, 6개 광역시는 하락 압력이 가속화되며 극심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금주의 부동산 시장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서울 매매지수 상승세 가속화 지속, 매수우위지수가 56.75로 크게 상승하며 강한 매수 심리가 확인되었습니다.
- 전국 매매거래지수 지난주(9.78) 대비 11.94로 큰 폭 상승, 거래량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3주 연속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6개 광역시 및 기타 지방의 하락세가 더욱 가속화, 특히 부산과 광주 등 주요 도시의 하락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서울의 견조한 상승세와 지방의 하락세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시장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있습니다.
2. 매매지수 추이 및 주요 지표 변화 비교
아래 차트는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의 매매지수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서울의 꾸준한 상승 흐름이 눈에 띄는 가운데, 지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매매지수 추이
다음 표는 2025년 8월 25일 기준 주요 지표를 지난주(8월 18일 기준)와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지역 | 매매지수 (8/25) | 매매지수 (8/18) | 매수우위지수 (8/25) | 매수우위지수 (8/18) | 매매거래지수 (8/25) | 매매거래지수 (8/18) |
---|---|---|---|---|---|---|
전국 | 89.69 | 89.67 | 33.67 | 32.78 | 11.94 | 9.78 |
서울 | 98.97 | 98.84 | 56.75 | 50.40 | 12.11 | 10.45 |
6개광역시 | 84.84 | 84.87 | 23.50 | 24.30 | 11.41 | 9.74 |
수도권 | 89.70 | 89.66 | 40.20 | 38.42 | 11.40 | 9.65 |
기타지방 | 94.30 | 94.30 | 31.57 | 31.47 | 12.36 | 9.14 |
▲ KB 주간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현황 (2025년 08월 25일 기준)
참고 사항:
- 매매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매수우위지수: 100을 초과하면 매수자가 많고,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 매매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지역별 매매지수 추세선 분석 결과, 서울과 지방 시장의 명확한 양극화가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결정계수(R²)를 통해 추세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83으로 매우 높습니다. 이는 서울 시장의 강한 상승 추세가 더욱 명확해졌음을 의미합니다.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29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완만한 상승 흐름의 신뢰도가 강화되었습니다. 서울의 상승세가 수도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89로 지난주보다 상승하여 1에 매우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뚜렷한 하락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기타 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57로 여전히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전국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서울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6개 광역시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수도권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기타지방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4. 주간 매매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강남11개구 | +0.154% |
서울 | +0.136% |
강북14개구 | +0.116% |
울산 | +0.062% |
세종 | +0.060% |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제주 | -0.045% |
대구 | -0.053% |
강원 | -0.055% |
부산 | -0.056% |
광주 | -0.083% |
이번 주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강남11개구로, 서울 전반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이 상승률 상위권을 차지하며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는 반면, 하락률 상위 지역에는 부산, 대전, 광주 등 지방 도시들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특히 6개 광역시는 하락세가 가속화된 모습을 보이며 지역별 차별화가 극심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마치며: 시장의 복합적인 흐름, 지역별 분석이 중요한 시점
2025년 8월 넷째 주 주간 KB부동산 매매지수 분석 결과, 매매시장의 양극화는 여전히 더욱 뚜렷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강력한 상승 추세의 신뢰도를 높인 반면, 6개 광역시는 하락 추세가 가속화되었습니다. 전국 지표는 여전히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으므로, 전체 시장을 판단하기보다는 지역별로 세밀한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전략입니다.
다만, 전국 매매거래지수가 2주 연속 소폭 상승세를 보이며 침체되었던 시장 활력이 아주 조금씩 회복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한 상승세 전환일지, 아니면 일시적인 현상일지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투자 관점에서는 지역별 차별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의 추세와 지방의 하락세를 동시에 고려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금리 변동성 및 정부 정책 등 거시 경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