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8월 25일: 전국 전세수급지수 150.7, 심각한 매물난 지속

              [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8월 25일: 전국 전세수급지수 150.7, 심각한 매물난 지속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8.25)-전세편]

 

이번 주 2025년 08월 25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전세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전반적인 전세가 상승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높은 수치를 기록한 전세수급지수가 의미하는 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전세시장 요약

     
  • 전국 전세수급지수 150.78로 매우 높은 수치 기록, 전세 매물 부족에 대한 임차인들의 우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 서울 전세가 상승세가 다시 뚜렷해지고 있으며, 전세수급지수(152.55) 또한 상승하여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 모든 지역의 전세수급지수가 149 이상으로, 전국적인 전세 매물난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  
  • 전세거래지수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 거래 자체가 활발하지 않아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2. 전세지수 추이 및 주요 지표 변화

아래 차트는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의 전세지수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전세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이 눈에 띕니다.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다음 표는 2025년 08월 25일 기준 주요 전세 지표를 지난주(8월 18일 기준)와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지역전세지수 (8/25)전세지수 (8/18)전세수급지수 (8/25)전세수급지수 (8/18)전세거래지수 (8/25)전세거래지수 (8/18)
전국90.7690.74150.78149.9319.2018.14
서울93.7893.73152.55151.5220.9020.30
6개광역시87.2387.23152.48151.1317.3917.23
수도권89.9289.89150.92149.3720.4119.30
기타지방95.9695.95149.96150.4818.9216.77

▲ KB 주간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현황 (2025년 08월 25일 기준)

자료 출처: KB데이터허브

    참고 사항:
    - 전세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전세수급지수: 100을 초과하면 공급 부족(전세 물건 부족)을, 100 미만이면 공급 우위(전세 물건 많음)를 의미합니다.
    - 전세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전세 동향 및 추세선 분석

지역별 전세지수 추세선 차트를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전세 가격 상승 추세가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특히 결정계수(R²)를 통해 추세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62로 매우 높습니다.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05)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강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61로 매우 높습니다.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53)를 기록하며 상승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 전국: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는 0.904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31)인 점은 전반적인 상승세 둔화 흐름을 의미합니다.
  •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894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42)로 상승 동력이 약해지고 있습니다.
  •  
  • 기타 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는 0.875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2차 추세선 계수(a)가 음수(-0.00004)인 점은 하락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수도권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수도권 전세지수 및 추세선

  기타지방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기타지방 전세지수 및 추세선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증감률
세종+0.150%
강남11개구+0.062%
서울+0.061%
강북14개구+0.060%
울산+0.045%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증감률
대구-0.006%
강원-0.008%
충남-0.015%
경북-0.037%
대전-0.045%
 

이번 주 전세가 상승률 1위 지역은 세종이었으며, 서울과 울산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한편 하락률 상위 지역에는 대전, 경북 등이 이름을 올리며 지방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습니다.


5. 마치며: 전세 시장의 상승세 둔화, 그러나 여전한 불안정성

2025년 8월 넷째 주 주간 KB부동산 전세지수 분석 결과, 전국적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세수급지수가 모든 지역에서 140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한 점에서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공급 부족 문제는 전세 가격의 꾸준한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상승 추세가 굳건합니다.

전세 시장의 상승세가 일부 둔화되는 조짐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매물난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세 계약을 준비 중인 임차인들은 지역별 수급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투자 관점에서 이러한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은 매매 시장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의 갭이 좁혀지는 상황에서 실수요자들의 매매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