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매매편(KB부동산)|2025년 08월 11일:서울 강세, 지방 하락 지속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8.11)-매매편]
이번주 2025년 08월 11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지난주 대비 서울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전국적으로 매수심리와 거래량이 소폭 회복되는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금주의 부동산 시장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서울 매매지수 상승세 가속화 지속, 매수우위지수 역시 소폭 회복되며 강한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전국 매매거래지수 지난주 최저치(8.36) 대비 9.56으로 소폭 회복,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거래량 회복이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 6개 광역시 및 기타 지방의 하락세가 여전하며, 특히 부산과 대구 등 주요 도시의 하락 압력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 서울의 견조한 상승세와 지방의 하락세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2. 매매지수 추이 및 주요 지표 변화 비교
아래 차트는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의 매매지수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서울의 꾸준한 상승 흐름이 눈에 띄는 가운데, 지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매매지수 추이
다음 표는 2025년 8월 11일 기준 주요 지표를 지난주(8월 4일 기준)와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지역 | 매매지수 (8/11) | 매매지수 (8/4) | 매수우위지수 (8/11) | 매수우위지수 (8/4) | 매매거래지수 (8/11) | 매매거래지수 (8/4) |
---|---|---|---|---|---|---|
전국 | 89.67 | 89.66 | 32.84 | 32.00 | 9.56 | 8.36 |
서울 | 98.73 | 98.59 | 51.87 | 50.16 | 8.71 | 5.31 |
6개광역시 | 84.91 | 84.93 | 23.62 | 23.07 | 9.15 | 8.91 |
수도권 | 89.62 | 89.58 | 39.35 | 38.79 | 8.69 | 6.39 |
기타지방 | 94.32 | 94.33 | 30.77 | 28.87 | 10.96 | 10.52 |
▲ KB 주간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현황 (2025년 08월 11일 기준)
참고 사항:
- 매매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매수우위지수: 100을 초과하면 매수자가 많고,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 매매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지역별 매매지수 추세선 분석 결과, 서울과 지방 시장의 명확한 양극화가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결정계수(R²)를 통해 추세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74로 지난주(0.9676)보다 소폭 상승하며, 서울 시장의 강한 상승 추세가 더욱 명확해졌음을 의미합니다.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893으로 지난주(0.8764)보다 상승하며 완만한 상승 흐름의 신뢰도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서울의 상승세가 수도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86으로 지난주(0.9861)와 유사하게 1에 매우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뚜렷한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기타 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R²)가 0.953으로 지난주(0.9531)와 거의 동일한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전국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서울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6개 광역시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수도권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 기타지방 매매지수 추세선 그래프
4. 주간 매매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
강남11개구 | +0.198% | |
서울 | +0.134% | |
강북14개구 | +0.063% | |
수도권 | +0.046% | |
울산 | +0.041% |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5개광역시 | -0.038% |
대구 | -0.044% |
경북 | -0.048% |
전북 | -0.057% |
부산 | -0.066% |
이번 주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강남11개구로, 서울 전반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이 상승률 상위권을 차지하며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는 반면, 하락률 상위 지역에는 부산, 전북, 경북, 대구 등 지방 도시들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특히 6개 광역시는 하락세가 여전한 모습을 보이며 지역별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마치며: 시장의 작은 변화들,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
2025년 8월 둘째 주 주간 KB부동산 매매지수 분석 결과, 서울과 수도권은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지방 시장은 여전히 침체된 분위기가 감지되었습니다. 다만, 지난주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던 전국 매매거래지수가 소폭 상승하고, 매수우위지수 역시 모든 지역에서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의 작은 변화가 시장의 반전을 의미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투자 관점에서는 이러한 미세한 신호들을 놓치지 않고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 및 수도권의 강한 상승 추세와 지방의 지속적인 하락세를 동시에 고려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금리 변동성 및 정부 정책 등 거시 경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