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매매편(kb부동산)|2025년 7월 21일:서울 강세 지속, 전국 거래량 침체 심화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7.21)-매매편]
이번주 2025년 07월 21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특히 서울과 지방 간의 뚜렷한 시장 온도차를 데이터로 확인하고, 각 지역별 심층적인 추세 변화를 분석합니다. 금주의 부동산 흐름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서울 매매지수 뚜렷한 상승세 지속, 매수심리는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 상회
- 전국 매매거래지수 10.03으로 역대 최저 수준 재기록, 극심한 시장 활력 저하 심화
- 6개 광역시 및 기타 지방은 매매지수 하락세 지속, 부산과 대구 하락폭 확대
- 매매 시장 양극화 심화, 서울 및 일부 수도권 지역과 지방 시장 간 격차 확대
2. 주요 지표 변화 요약
지역 | 매매지수 | 매수우위지수 | 매매거래지수 |
---|---|---|---|
전국 | 89.66 | 32.08 | 10.03 |
서울 | 98.33 | 52.18 | 7.86 |
6개광역시 | 85.02 | 22.37 | 10.77 |
수도권 | 89.51 | 38.79 | 8.73 |
기타지방 | 94.36 | 30.14 | 11.05 |
▲ KB 주간 매매지수, 매수우위지수, 매매거래지수 현황 (2025년 07월 21일 기준)
참고 사항:
- 매매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매수우위지수: 100을 초과하면 매수자가 많고,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 매매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매매지수 추이
결정계수 (R²) 분석을 통한 추세의 신뢰도 확인
결정계수 (R²)는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데이터에 잘 부합함을 의미합니다. 이번 주 데이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결정계수 (R²) |
---|---|
2차 (전국) | 0.0523 |
1차 (전국) | 0.0476 |
2차 (서울) | 0.9542 |
1차 (서울) | 0.9177 |
2차 (6개광역시) | 0.9858 |
1차 (6개광역시) | 0.9822 |
2차 (수도권) | 0.8522 |
1차 (수도권) | 0.8462 |
2차 (기타지방) | 0.9559 |
1차 (기타지방) | 0.9531 |
- 전국: 매매 지수의 2차 결정계수가 0.0523로 낮지만, 2차 추세선 계수(a=4.9378e-05)가 양수로 나타나 미미한 상승 모멘텀 전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서울: 2차 결정계수가 0.9542로 매우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1.7890e-03)가 양수로 나타나 매매가 상승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6개 광역시: 2차 결정계수가 0.9858로 매우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1.6992e-04)가 음수로 나타나 매매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수도권: 2차 결정계수가 0.8522로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2.0739e-04)가 양수로 나타나 서울의 영향으로 완만한 상승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기타 지방: 2차 결정계수가 0.9559로 매우 높지만, 2차 추세선 계수(a=-1.1497e-04)가 음수로 나타나 매매가 하락 압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2차 추세선 계수(a)가 양수이면 상승 가속, 음수이면 상승 둔화 또는 하락 가속을 의미합니다.





▲ 전국 및 권역별 추세선
4. 주간 매매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이번 주 매매지수 증감률을 통해 지역별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권의 상승세가 여전히 두드러지는 반면, 지방 주요 도시들의 하락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강남11개구 | +0.239% |
서울 | +0.194% |
강북14개구 | +0.144% |
울산 | +0.068% |
수도권 | +0.067% |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 | 증감률 |
---|---|
광주 | -0.037% |
6개광역시 | -0.049% |
5개광역시 | -0.060% |
부산 | -0.092% |
대구 | -0.107% |
5. 매수심리 및 거래지표 해석
매수우위지수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심리적 우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매수세가, 낮으면 매도세가 우위임을 의미합니다. 매매거래지수는 시장의 거래 활력을 보여줍니다.
지역 | 매수우위지수 | 매매거래지수 | 해석 및 시사점 |
---|---|---|---|
서울 | 52.18 | 7.86 | 매수심리가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을 상회합니다. 그러나 낮은 거래량은 여전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수도권 | 38.79 | 8.73 | 전국 평균보다는 높지만, 매도자 우위가 뚜렷하며, 극히 낮은 거래 활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6개 광역시 | 22.37 | 10.77 | 매우 낮은 지수로 강한 매도 우위 시장과 극심한 거래 침체를 보여줍니다. 매수자 관망세가 심화되는 양상입니다. |
기타지방 | 30.14 | 11.05 | 6개 광역시와 유사하게 매도 우위가 뚜렷하며, 거래량도 극히 저조합니다. 시장 회복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전국 평균 | 32.08 | 10.03 | 여전히 매도자 우위 시장이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매매거래지수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시장 전체의 활력 저하가 심각합니다. |
긍정적 신호: 서울은 매매지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으나, 매수심리 지표가 지난주 대비 소폭 하락하며 조절 국면 진입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주의 요인: 전국 매매거래지수가 극심하게 낮은 수준을 기록하며 시장 전체의 활력 저하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방 시장은 뚜렷한 반등 신호 없이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6. 이번 주의 시사점 & 인사이트
이번 주 2025년 07월 21일 KB부동산 매매 지표를 지난주 2025년 07월 14일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서울 중심의 상승 흐름과 지방 시장의 하락세가 더욱 뚜렷해지며 양극화가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전국 매매거래지수는 지난주 11.13에서 이번 주 10.03으로 추가 하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재기록했습니다. 이는 매수심리 위축과 더불어 시장의 전반적인 활력이 극도로 저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서울은 매매지수 상승을 지속하며 견고한 모습을 보였지만, 매수우위지수는 지난주 55.22에서 이번 주 52.18로 소폭 하락하여 매수세가 다소 주춤하는 조절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향후 시장은 매수 심리 변화와 함께 지역별 차등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지방 시장은 뚜렷한 반등 신호가 부족한 만큼, 투자 또는 내 집 마련 시에는 지역별 맞춤 전략과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금리 변동성 및 정부 정책 등 거시 경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합니다.
핵심 요약:
현재 부동산 시장은 서울의 상승 추세와 지방의 하락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투자 시에는 이러한 지역별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