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7월 21일:전세가 상승 둔화 지속, 수급 불균형 여전

[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07월 21일: 전세가 상승 둔화 지속, 수급 불균형 여전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25.07.21)-전세편]

이번주 2025년 07월 21일 기준 KB 주간 부동산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데이터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 전세 시장의 주요 흐름을 분석합니다. 특히 서울과 지방 간의 전세 시장 온도차를 데이터로 확인하고, 각 지역별 심층적인 추세 변화를 분석합니다. 금주의 전세 시장 흐름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전세 시장 요약

  • 서울 전세 지수 상승세 둔화 국면 진입, 전세수급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 수도권 전세 지수 상승세 둔화, 그러나 전세수급지수는 전국 평균보다 높아 수급 불균형 여전
  • 전국 전세 지수 상승세 유지하나, 2차 추세선 계수가 음수로 전환되며 상승 모멘텀 약화 시사
  • 지방 주요 광역시 및 기타 지방은 전세 지수 하락세 지속, 매물 증가 및 거래 침체

2. 주요 전세 지표 변화 요약

지역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전국90.67145.4117.78
서울93.48144.9617.52
6개광역시87.21145.9317.98
수도권89.77143.3418.43
기타지방95.93149.0417.24

▲ KB 주간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현황 (2025년 07월 21일 기준)

자료 출처: KB데이터허브

참고 사항:
- 전세지수: 100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 전세수급지수: 100을 초과하면 공급 부족(전세 물건 부족)을, 100 미만이면 공급 우위(전세 물건 많음)를 의미합니다.
- 전세거래지수: 100을 초과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100 미만이면 감소합니다.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결정계수 (R²) 분석을 통한 추세의 신뢰도 확인

결정계수 (R²)는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데이터에 잘 부합함을 의미합니다. 이번 주 데이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결정계수 (R²)
2차 (전국)0.9470
1차 (전국)0.8210
2차 (서울)0.9532
1차 (서울)0.9163
2차 (6개광역시)0.9579
1차 (6개광역시)0.7326
2차 (수도권)0.9717
1차 (수도권)0.8935
2차 (기타지방)0.9046
1차 (기타지방)0.8318
  • 전국: 전세 지수의 2차 결정계수가 0.9470로 높지만, 2차 추세선 계수(a=-6.1902e-04)가 음수로 나타나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서울: 2차 결정계수가 0.9532로 매우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8.8002e-04)가 음수로 나타나 전세가 상승세가 둔화 국면에 진입했음을 보여줍니다.
  • 6개 광역시: 2차 결정계수가 0.9579로 매우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5.3951e-04)가 음수로 나타나 전세가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수도권: 2차 결정계수가 0.9717로 매우 높으며, 2차 추세선 계수(a=-1.0374e-03)가 음수로 나타나 전세가 상승세 둔화 또는 하락 전환 압력이 강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기타 지방: 2차 결정계수가 0.9046로 높지만, 2차 추세선 계수(a=-2.3123e-04)가 음수로 나타나 전세가 하락 압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2차 추세선 계수(a)가 양수이면 상승 가속, 음수이면 상승 둔화 또는 하락 가속을 의미합니다.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수도권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지방지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전국 및 권역별 추세선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이번 주 전세지수 증감률을 통해 지역별 전세 시장의 미묘한 온도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의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거나 하락 압력이 커지는 양상입니다.

📈 상승세 TOP 5 지역

지역명 증감률
울산+0.214%
강남11개구+0.076%
서울+0.065%
강북14개구+0.053%
세종+0.052%

📉 하락세 BOTTOM 5 지역

지역명 증감률
대구-0.027%
전북-0.030%
경북-0.033%
광주-0.036%
전남-0.039%

5. 전세수급 및 거래지표 해석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물건의 공급과 수요 간의 균형을, 전세거래지수는 전세 시장의 거래 활력을 보여줍니다.

지역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해석 및 시사점
서울 144.96 17.52 여전히 100을 크게 상회하며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거래량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이 공존합니다.
수도권 143.34 18.43 수급 지수가 100을 크게 상회하며 전세 물건 부족이 지속되고 있으나, 상승 모멘텀은 둔화되는 양상입니다. 거래 활력은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6개 광역시 145.93 17.98 100을 상회하는 수급 지수를 보이지만, 기타 지방과 마찬가지로 매물이 서서히 증가하며 시장이 다소 안정화되는 흐름입니다. 낮은 거래량은 지속됩니다.
기타지방 149.04 17.24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나타나지만, 하락 추세가 이어지며 전반적인 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전국 평균 145.41 17.78 전반적인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나, 거래량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시장의 활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긍정적 신호: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전세 수급 불균형은 여전히 심각하며, 이는 지속적인 전세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 요인: 전국적으로 전세 지수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거나 하락 압력이 관찰되며, 낮은 거래량은 전세 시장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6. 이번 주의 시사점 & 인사이트

이번 주 2025년 07월 21일 KB부동산 전세 지표를 지난주 2025년 07월 14일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전세가 상승 모멘텀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역별 편차가 여전히 크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전세지수의 2차 추세선 계수(a)가 모든 지역에서 음수 값을 유지하며 상승세 둔화 또는 하락 압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여전히 높은 전세수급지수(각각 144.96, 143.34)를 기록하며 전세 물건 부족이 지속되고 있으나, 전세가 상승 속도는 점차 둔화되는 양상입니다. 반면, 지방 주요 지역은 전세가 하락 추세가 이어지며, 일부 지역에서는 하락폭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임차인들은 전세 매물 부족 현상에 대비하고, 금리 변동성 및 정부 정책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임대인 역시 전세가 변동 가능성을 인지하고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핵심 요약:
현재 전세 시장은 전반적인 상승 모멘텀 둔화와 지역별 하락 압력이 공존하며, 수급 불균형 심화 속에서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