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6월 30일: 서울 전세 강세, 지방 전세 시장 양극화 심화

[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6월 30일: 서울 전세 강세, 지방 전세 시장 양극화 심화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 - 전세편

이번 주 전국, 서울, 수도권, 6개 광역시, 기타지방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를 심층 분석했습니다.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세 시장의 온도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요 지역별 추세선을 통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해 봅니다. 특히, 이번 리포트에서는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상위 및 하위 지역을 분석하여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명확히 제시합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서울 전세수급지수 144.88로 높은 수급 불균형 지속, 전세가 상승 압력 유지
  • 강남 11개구, 서울, 강북 14개구 등 전세지수 뚜렷한 상승세
  • 대전, 경남, 대구 등 지방 주요 지역 전세지수 하락세 지속
  • 전국 전세거래지수 23.01, 낮은 시장 활력 속 지역별 편차 심화

2. 주요 지표 변화 요약

지역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전국90.60142.6123.01
서울93.24144.8830.21
6개광역시87.19141.6921.29
수도권89.63142.1427.61
기타지방95.93144.7517.63

▶자료 출처: KB데이터허브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 주간 전세지수 추이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서울: 전세지수가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458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뚜렷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높은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물량 부족과 임차인 수요 강세를 나타내며, 전세가 상승 압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884로 거의 완벽에 가까운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세수급지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전세지수 하락은 공급 과잉 또는 매매 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 기타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648로 지방 전세 시장의 하방 압력이 여전히 강함을 보여줍니다. 전세수급지수는 높지만 실제 거래 활력은 낮아, 수요는 있으나 거래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해석됩니다.
  • 수도권: 서울의 상승 흐름에 일부 동조하며 전세지수가 소폭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8643로 서울만큼 강한 추세는 아닙니다. 전반적인 거래 활력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전국: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1846로 다른 지역에 비해 추세의 설명력이 낮아, 지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서울 및 일부 수도권의 강세가 평균을 견인하나, 지방의 부진이 전반적인 상승세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수도권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기타지방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이번 주 전세지수 증감률을 통해 지역별 전세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권과 일부 수도권, 그리고 울산, 세종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반면,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지역들도 눈에 띕니다.

상위 5개 지역 (상승세 견인) 하위 5개 지역 (하락세 지속)
지역명 증감률 지역명 증감률
강남 11개구+0.107%강원-0.009%
서울+0.093%제주-0.013%
강북 14개구+0.078%대구-0.015%
울산+0.077%경남-0.017%
세종+0.062%대전-0.042%

5. 전세수급 및 거래지표 해석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매물의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나타내며,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공급 부족, 낮으면 수요 부족을 의미합니다. 전세거래지수는 전세 시장의 거래 활력을 보여줍니다.

지역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해석 및 시사점
서울 144.88 30.21 매우 높은 수급지수로 전세 물량 부족 심화.
거래지수는 낮지만, 부족한 물량으로 인한 가격 상승 압력.
수도권 142.14 27.61 서울과 유사하게 높은 수급지수.
전세 물량 부족 현상 지속. 거래 활력은 여전히 제한적.
6개 광역시 141.69 21.29 높은 수급지수에도 불구하고 전세지수 하락세.
매매 시장 침체가 전세 시장에도 영향.
기타지방 144.75 17.63 가장 높은 수급지수이나 가장 낮은 거래지수.
전세 물량은 부족하나, 거래로 이어지지 않는 시장 침체.
전국 평균 142.61 23.01 전반적인 전세 물량 부족 현상 지속.
서울 및 수도권의 영향으로 지수는 높으나, 거래는 여전히 저조.
긍정적 신호: 서울 및 수도권은 전세 물량 부족이 심화되며 전세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주의 요인: 지방 전세 시장은 높은 수급지수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부진하여 전세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매 시장의 침체와 맞물려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6. 이번 주의 시사점 & 인사이트

이번 주 KB부동산 전세 지표는 서울 및 수도권 전세 시장의 견고한 상승 흐름과 지방 전세 시장의 극명한 대비를 보여줍니다. 서울은 높은 전세수급지수가 전세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전국적인 전세 거래 활력은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지역별 전세지수 증감률을 통해 이러한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세 시장의 핵심 포인트는 서울 및 수도권의 전세가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지방 전세 시장의 하락세가 멈출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특히, 지방 시장은 뚜렷한 전환 신호가 부족하여 임차인 또는 투자자들은 지역별 맞춤 전략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최근 발표된 '6.27 부동산 대책'과 같은 강력한 대출 규제는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전세 대출 관련 규제는 전세 시장의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키거나, 역전세 등의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부 정책과 거시 경제 변화에 따라 시장의 흐름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