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7월 7일: 지금도 서울 전세 강세 지속, 여전히 지방 하락세 둔화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전세편
이번 주 2025년 7월 7일 기준 전국, 서울, 수도권, 6개 광역시, 기타지방의 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를 심층 분석했습니다.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세 시장의 온도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요 지역별 추세선을 통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해 봅니다. 특히, 이번 리포트에서는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상위 및 하위 지역을 분석하여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명확히 제시합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전국 전세수급지수 143.60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 상승, 전세 공급 부족 심화
- 서울 전세지수 0.087% 상승, 강남 11개구 전세 강세 지속
- 수도권 전세수급지수 141.89로 높은 수준 유지, 전세난 지속 우려
- 지방 전세지수 하락세 둔화 조짐, 일부 지역 상승 전환 기대
- 전국 전세거래지수 18.85로 낮은 수준 지속, 거래 활력은 여전히 저조
2. 주요 지표 변화 요약
| 지역 | 전세지수 | 전세수급지수 | 전세거래지수 |
|---|---|---|---|
| 전국 | 90.63 | 143.60 | 18.85 |
| 서울 | 93.32 | 143.64 | 22.04 |
| 6개광역시 | 87.19 | 143.77 | 17.77 |
| 수도권 | 89.69 | 141.89 | 21.16 |
| 기타지방 | 95.94 | 147.26 | 16.31 |
3. 지역별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전국: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651, 1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8233로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전반적인 상승 흐름이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차 추세선의 음의 계수(a=-0.0007)는 상승세가 점차 약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607, 1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8963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견조한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차 추세선의 음의 계수(a=-0.0013)는 상승 폭이 다소 둔화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604, 1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7676로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2차 추세선의 음의 계수(a=-0.0005)가 1차 추세선보다 완만하여 하락세가 둔화될 조짐을 보입니다.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802, 1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8883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전세 지수 상승세가 뚜렷합니다. 2차 추세선의 음의 계수(a=-0.0012)는 상승 폭이 점차 줄어들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기타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218, 1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8108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2차 추세선의 음의 계수(a=-0.0003)가 1차 추세선보다 완만하여 하락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 전국 및 권역별 추세선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이번 주 전세지수 증감률을 통해 지역별 전세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서울 강남권의 상승세가 여전히 두드러지는 반면, 일부 지방 도시들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상승세 TOP 5 지역
| 지역명 | 증감률 |
|---|---|
| 울산 | +0.144% |
| 세종 | +0.114% |
| 강남11개구 | +0.113% |
| 서울 | +0.087% |
| 수도권 | +0.063% |
📉 하락세 BOTTOM 5 지역
| 지역명 | 증감률 |
|---|---|
| 전남 | -0.005% |
| 제주 | -0.009% |
| 강원 | -0.009% |
| 대구 | -0.026% |
| 대전 | -0.055% |
5. 전세수급 및 거래지표 해석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공급 부족, 낮으면 수요 부족을 의미합니다. 전세거래지수는 시장의 거래 활력을 보여줍니다.
| 지역 | 전세수급지수 | 전세거래지수 | 해석 및 시사점 |
|---|---|---|---|
| 서울 | 143.64 | 22.04 | 매우 높은 수급지수로 전세 공급 부족이 지속되며 전세가 상승 압력이 높습니다. 거래 활력은 낮은 수준입니다. |
| 수도권 | 141.89 | 21.16 | 서울과 유사하게 높은 수급지수를 보여 전세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거래량은 여전히 저조합니다. |
| 6개 광역시 | 143.77 | 17.77 | 전세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으나, 거래 활력은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수급 불균형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
| 기타지방 | 147.26 | 16.31 |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급지수로 전세 물량 부족이 심각합니다. 하지만 거래량은 가장 낮아 시장의 불확실성이 큽니다. |
| 전국 평균 | 143.60 | 18.85 | 전반적으로 전세 물량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나, 거래량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전세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긍정적 신호: 서울과 수도권의 전세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일부 지방 지역에서는 하락세가 둔화되는 조짐을 보입니다.
주의 요인: 전반적인 전세 물량 부족에도 불구하고 낮은 거래량이 지속되어 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습니다. 특히 지방은 수급 불균형이 가격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6. 이번 주의 시사점 & 인사이트
이번 주 KB부동산 전세 지표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전세 강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높은 전세수급지수는 이 지역들의 전세 물량 부족이 심각하며, 전세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높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서울 강남 11개구의 전세 강세는 주목할 만합니다.
반면, 6개 광역시와 기타지방은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으나, 하락세가 점차 둔화되는 긍정적인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지방 전세 시장이 바닥을 다지거나 국지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전세거래지수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시장의 활력은 아직 미미합니다.
이러한 전세 시장 흐름은 최근 발표된 6.27 부동산 대책의 간접적인 영향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매매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주택 구매가 어려워지면서, 실수요자들이 전세 시장에 머무르거나 신규 진입하는 경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 등 공급이 부족한 지역의 전세난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세 시장은 수도권 전세난의 지속 여부와 더불어, 매매 시장의 위축이 전세 수요를 얼마나 더 늘릴지, 그리고 지방 전세 시장의 둔화된 하락세가 반등으로 이어질지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임차인들은 전세 매물 확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며, 임대인들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합리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점입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