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2부): 환율전망, 1,400원대 시나리오와 투자 전략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 시나리오 및 대응(2부)]
1부에서는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국내외 요인들을 분석했습니다. 2부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환율 전망을 종합하고, 환율 변동 시나리오에 따른 물가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더불어 불확실성이 높은 현 시점에서 정부의 정책 방향과 기업 및 투자자들이 취해야 할 실질적인 환율 리스크 관리 전략을 제시합니다.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 주요 변수와 시장 전망
1.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 전망 및 시나리오
A.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 전망 종합: 1,400원대 또는 그 이상
다수의 글로벌 투자은행(IB)은 2025년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일부 글로벌 투자은행(IB)은 과거의 점진적 하락 예상과 달리 2025년 하반기에도 환율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전망을 살펴보면, ING는 1개월 후 원/달러 환율을 1,425원으로 제시하며, 아시아 통화가 중국 위안화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보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ING는 한국이 대미 무역 흑자가 많아 가장 높은 절하 압력에 처할 것이며, 미국과의 방위비 분담 협상 불확실성도 원화를 압박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모건스탠리(MS)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비관적으로 평가하며, 잠재적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하의 관세 위험 재부상 등을 근거로 합니다. 노무라는 2025년 2분기 말까지 환율이 1,500원에 도달한 후 3분기 말까지 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높은 환율 전망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과 그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경제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B. 환율 변동 시나리오별 물가 영향 분석: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시각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원/달러 환율 변동의 주요 원인을 미국 달러화 요인과 국내 요인으로 구분합니다. 2025년 1분기에는 원/달러 환율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0.47%p 상승 기여했으며, 이는 주로 미국 달러화 요인의 영향이 컸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은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하더라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물가 목표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분석합니다. 이는 한국은행이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해 공격적인 금리 인상 없이도 일정 수준의 원화 약세를 용인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 여유"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C. 종합 전망 및 핵심 불확실성 요인

▲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 전망과 전략적 대응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 전망은 명확하게 엇갈립니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한국의 취약성을 이유로 환율이 1,400원대 또는 1,500원대에서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는 반면, 일부 국내 분석은 글로벌 달러 약세 전환 기대로 인해 하반기 평균 1,385원 내외로 원화 약세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요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미국 대통령 선거 및 무역 정책,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점 및 속도, 지정학적 전개, 한국의 국내 금융 안정성, 그리고 글로벌 경제 성장 궤적 등이 있습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과 그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잠재적으로 환율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2. 전략적 시사점 및 대응 방안
A. 정부 및 한국은행의 정책적 대응 방향: 제한적인 개입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력하여 외환 시장을 안정시키고 장기적인 정치적 불확실성 및 기타 위험 요인이 변동성 확대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신중한 개입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 조정)과 같은 개입은 단기적으로 급격한 환율 상승을 제한하거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같은 국책 연구기관들은 과도한 개입에 대해 경고합니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이 환율을 강제로 낮추기 위한 직접적인 개입 능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B. 기업 및 투자자를 위한 환율 리스크 관리 전략
수출 기업의 경우, 원화 강세(환율 하락)는 매출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선물환 계약 및 통화 옵션과 같은 통화 헤지 전략을 실행하여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및 기관 투자자는 자산 배분을 재조정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달러 자산 보유량을 조정하고 원화 표시 자산으로 재배분하며, 특히 금리 인하 사이클을 예상하여 금 및 채권 투자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높은 불확실성과 엇갈리는 전망을 고려할 때, 기업과 투자자는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견고한 시나리오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주요 거시경제 지표(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정책, 한국은행 정책, 무역 데이터, 지정학적 전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위험 관리 전략을 적시에 조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마치며: 불확실한 시대, 현명한 환율 대응을 위한 제언
2025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높은 환율 전망과 국내 기관들의 점진적 완화 예상이라는 엇갈린 시각 속에서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정책 변화는 환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의 시장 개입 능력이 제한적인 만큼, 기업과 투자자들은 선제적인 환율 위험 관리와 전략적인 자산 배분을 통해 이러한 변동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환율 변동의 근본 원인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현명한 의사결정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현재의 변동성 높은 시기는 상당한 위험을 완화하면서 잠재적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관점을 요구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원/달러 환율 2025 하반기 전망(1부) 보러 가기
▶참고 자료 펼쳐보기 (총 22개)◀
- 환율그래프 - 우리은행,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FXXRT0004
- 글로벌 IB, 내년 달러-원 1400원대 줄줄이 전망…주요 ... - 연합인포맥스,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2860
- 글로벌 IB들 환율 전망 대폭↑…"내년 3분기까지도 계속 상승",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no=88560&siteId=6
- 2025년 미국 금리 동결 전망과 원화 환율 영향 분석 | EBC Financial ...,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ebc.com/kr/forex/232760.html
- 대한민국 원 | 1983-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south-korea/currency
- 최근 원달러 환율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 한국금융연구원,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if.re.kr/kif4/publication/viewer?mid=20&vid=0&cno=344636&fcd=2025001044BI&ft=0
- 미국 연준 6월 FOMC 회의 결과 및 평가 - KCIF 국제금융센터 - 세계경제,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840&mn=003002
- 통화정책방향 : 기준금리 3.00% 유지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 ...,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2397
- [전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4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 뉴스1,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economy/trend/5756394
-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로 동결 - 데일리바이트,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ydailybyte.com/post/7%EC%9B%94-%ED%95%9C%EC%9D%80-%EA%B8%88%ED%86%B5%EC%9C%84-2507
- [속보] 한국은행 금리 0.25%p 인하…연 2.75→ 2.5%/올해 성장률 전망치 1.5→0.8%로/2025년 5월 29일(목)/KBS - YouTube,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xMeF3DEf18M
- 2025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5893
- '수출입 동향'에 대한 검색결과 3247 건 입니다 - 산업통상자원부,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otie.go.kr/search/search.do?site=main¤tPage=1&rowPerPage=10&detailSearch=&bbsPreQuery=text_idx%3D%27%ED%97%88%ED%83%9C%EC%88%98%27+allwordthruindex&pagePreQuery=and&userPreQuery=and&category=c1&kwd=%EC%88%98%EC%B6%9C%EC%9E%85+%EB%8F%99%ED%96%A5&start-date=&end-date=
- 관세청-'25년 4월 수출입 현황(잠정치),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customs.go.kr/kcs/na/ntt/selectNttInfo.do?mi=2891&bbsId=1362&nttSn=10138034&nttSnUrl=1c96cd69a106c91e70c780b56d292076
- 달러 원 환율 1380원 돌파…지정학 리스크가 부른 충격 - EBC Financial Group,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ebc.com/kr/forex/231749.html
- 2025년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 이슈리포트 | 연구보고서 - 에너지경제연구원,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eei.re.kr/board.es?mid=a10101040000&bid=0002&act=view&list_no=124817&nPage=1
- 하반기 유가 62달러 전망…경기둔화에 하향세 - 중기이코노미,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34016
- 미국 재무부, 환율보고서 발표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7386
-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3670
- KDI 현안분석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 부처 브리핑,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86780
- 2025년 한국 경제 전망(수정) - 현대경제연구원,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5909_vDf0PB9V_20250507061207.pdf
- 원/달러 환율변동성이 큰 배경과 시사점, 7월 17, 2025에 액세스: http://knsi.org/knsi/admin/work/works/BOK_201101.pdf?PHPSESSID=6143231876f5c0da77279f520af99c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