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6월 4주차: 서울 전세수급 압박 심화, 일부 지방 하락세 지속

[주간 부동산 추세 & 심리 리포트] 전세편(kb부동산)|2025년 7월 1주차: 전세 시장 과열 조짐, 지방별 온도차 극명

주간 부동산 데이터 리포트 - 전세편

이번 주 전국, 서울, 수도권, 6개 광역시, 기타지방전세지수,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를 심층 분석했습니다. 저번주 발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세 시장의 온도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요 지역별 추세선을 통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해 봅니다. 특히, 이번 리포트에서는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상위 및 하위 지역을 분석하여 시장의 온도차를 더욱 명확히 제시합니다.


1. 한눈에 보는 이번 주 요약

  • 전국 전세수급지수 143.69, 공급 부족 심화 지속
  • 서울 전세지수 93.2, 뚜렷한 상승세 속 수도권도 견조한 흐름
  • 강남 11개구 전세 증감률 최고치 기록, 국지적 과열 양상
  • 제주, 대구, 충남 등 일부 지방 전세가 하락세 여전
  • 전국 전세거래지수 27.27, 낮은 거래량 속 수요 잠재

2. 주요 지표 변화 요약

구분 전국 서울 6개광역시 수도권 기타지방
전세지수90.693.287.289.695.9
전세수급지수143.69144.99142.71142.91146.45
전세거래지수27.2839.6820.5434.6621.18

▶자료 출처: KB데이터허브


3. 지역별 전세 동향 분석 및 추세선 해석

최근 1년간 전국 및 주요 지역 주간 전세지수 추이

▲ 최근 1년간 전국 및 수도권 주요 지역 전세지수 추이

  • 전국: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760으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전반적인 전세 지수의 상승 흐름이 견고합니다. 이는 전국적으로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서울: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680으로 서울 전세 시장의 뚜렷한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한 매수심리(매매편 참조)와 더불어 전세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6개 광역시: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563으로 여전히 높은 설명력을 보입니다. 일부 상승 지역이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보합세 또는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혼조 양상이 나타납니다.
  • 수도권: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859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서울과 유사하게 강한 상승 흐름을 보입니다. 서울의 전세가 상승이 수도권으로 확산되는 모습입니다.
  • 기타지방: 2차 추세선 결정계수 R²=0.9407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지만, 1차식의 A값이 음수인 점을 고려할 때 복합적인 흐름을 보입니다. 일부 회복 조짐이 보이는 지역도 있으나 전반적인 상승세는 미미합니다.
  • ※결정계수(R²)는 1에 가까울수록 추세선이 실제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입니다.
전국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서울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6개 광역시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수도권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기타지방 전세지수 추세선 그래프

▲ 전국 및 권역별 전세지수 추세선 (1차·2차식 포함)


4. 주간 전세지수 증감률 TOP 5 & BOTTOM 5 분석

이번 주 전세지수 증감률을 살펴보면, 수도권 주요 지역의 전세가 강세가 확연히 드러나는 반면,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별 양극화 현상은 전세 시장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상위 5개 지역 (상승세 견인) 하위 5개 지역 (하락세 지속)
지역명 증감률 지역명 증감률
강남 11개구+0.112%충남-0.017%
서울+0.093%강원-0.018%
울산+0.085%대구-0.025%
강북 14개구+0.072%전남-0.034%
전북+0.068%대전-0.041%

5. 전세수급 및 거래지표 해석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공급 부족, 낮으면 수요 부족을 의미하며, 전세거래지수는 시장의 거래 활력을 나타냅니다.

지역 전세수급지수 전세거래지수 해석 및 시사점
전국 143.69 27.28 전국적으로 전세 공급 부족 심화.
거래는 활발하지 않지만, 잠재된 전세 수요가 가격을 압박.
서울 144.99 39.68 가장 높은 전세수급지수를 보이며 수요 대비 공급이 매우 부족.
이로 인해 전세가 상승 압력이 매우 강함.
6개 광역시 142.71 20.54 높은 수급지수에도 불구하고 거래는 저조.
지역별 편차가 크며, 일부 지역은 여전히 공급 과잉 우려.
수도권 142.91 34.66 서울과 유사하게 전세 수요 강세.
거래량은 서울보다 낮지만, 매물 부족 현상 지속.
기타지방 146.45 21.18 가장 높은 전세수급지수에도 불구하고 거래는 매우 저조.
미분양 주택 등 공급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
긍정적 신호: 전세수급지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특히 수도권 지역의 전세 물량 부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의 요인: 전세 거래지수는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실제 거래 활력보다는 물량 부족에 의한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합니다. 이는 전세 사기 등 불안정 요인과 맞물려 시장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6. 이번 주의 시사점 & 인사이트

이번 주 KB부동산 전세 지표는 전국적인 전세 물량 부족과 이로 인한 전세가 상승 압력을 보여주며, 모든 결정계수(R²)가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서울 및 수도권은 상승 방향으로, 지방 지역은 하락 방향으로 그 추세가 굳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은 강한 전세 수요와 낮은 거래량 속에서도 지수 상승이 이어지며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가 지속되는 등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전세 시장은 매매 시장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현재의 전세 시장 불안정은 향후 매매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부의 전세 공급 대책과 금리 변동 추이를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임차인은 안정적인 전세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임대인은 공실 리스크와 더불어 전세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중한 접근과 지역별 맞춤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본 블로그의 내용은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블로그의 정보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비트코인 2025년 6월 시장 전망 및 투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