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자본주의

『자본주의』 독후감

『자본주의』 독후감

저자: EBS 자본주의팀

독서 기간: 2022.03.23 ~ 2022.03.28

내용 요약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자본주의의 작동 구조, 금융 시스템, 소비 심리, 철학자들의 사상, 복지의 역할 등을 폭넓게 다룬다.

1장은 자본주의의 시작과 은행 시스템을 통해 돈이 어떻게 유통되는지 설명한다. '이자'라는 개념이 돈의 지속적 발행을 낳으며, 그 자체로 자본주의 순환의 핵심이라는 주장이다.

2장에서는 펀드를 중심으로 금융상품의 이해를 강조하고, 3장에서는 마케팅이 인간의 감정(불안, 우울, 분노)을 어떻게 소비로 전환시키는지 분석한다.

4장은 아담 스미스, 칼 마르크스, 케인스, 하이에크 등의 경제철학을 비교한다. 특히 케인스의 큰 정부(뉴딜정책)와 하이에크의 작은 정부(신자유주의)를 중심으로 자본주의의 상반된 노선을 정리한다.

5장은 복지 시스템을 자본주의의 대안적 조절 기제로 제시한다. 자본주의가 양극화와 금융집중을 낳는 구조적 문제를 가진다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복지라는 것이다.

느낀 점

20대에 읽었을 때는 은행 시스템에 대한 분노가 컸지만, 지금은 '그럴 수도 있겠구나'라는 태도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특히 책의 시점이 2012년인 만큼, 이후 전개된 세계 경제 상황과 비교하며 읽을 수 있었다는 점이 유익했다.

금본위제 시대의 통화 공급, 대공황 이후의 금융법 제정 등, 당시 상황을 맥락 속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느꼈다. 단순히 금융(은행)을 부정적으로만 묘사하는 경향은 시대적 배경에서 기인한 부분이 있겠지만, 자본주의의 이로운 측면도 함께 다뤘다면 균형 잡힌 시각이 되었을 것이다.

개인 평점

★★★☆☆

자본주의의 구조와 철학을 입문자 수준에서 폭넓게 조망할 수 있는 책이다. 다만 금융에 대한 시각이 다소 부정적이며, 자본주의의 가능성과 유연성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는 점이 아쉬웠다. 그럼에도 자본주의를 처음 이해하는 데에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테그플레이션 뜻, 경제 위기 속 생존 전략: 원인, 영향, 대처법 완벽 분석

원/달러 환율 2025년 하반기 전망(1부):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주요 원인 분

부동산 규제 강화: 627 대책이 내 집 마련에 미치는 영향